반응형
[공용체]
하나의 메로리를 여러개의 변수가 공용하는 구조
특징
- 공용체 내 변수들은
서로다른 자료형을 가질 수 있다.
- 공용체의 크기는 필드 내 가장 큰 바이트크기이다.
공용체와 구조체의 메모리 비교
include <stdio.h>
typedef union Un1 {
char ch;
int num;
}u1;
typedef struct St1 {
char ch;
int num;
}s1;
int main() {
printf("sizeof(Un1):%d\n", sizeof(u1));
printf("sizeof(St1):%d\n", sizeof(s1));
s1 s;
u1 u;
s.ch = 'a';
s.num = 65;
u.ch = 'a';
u.num = 65;
printf("s.ch:%c\n", s.ch);
printf("u.ch:%c\n", u.ch);
printf("&s.num:%d\n", &s.num);
printf("&s.ch:%d\n", &s.ch);
printf("&u.num:%d\n", &u.num);
printf("&u.ch:%d\n", &u.ch);
return 0;
}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일입출력 (0) | 2020.08.17 |
---|---|
구조체 실습 - 카페 (0) | 2020.08.16 |
구조체 포인터의 동적할당 (0) | 2020.08.12 |
구조체 포인터 (0) | 2020.08.11 |
구조체 (0) | 2020.08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