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프로그래밍/C

반복문(2)

by leestun 2020. 7. 21.
반응형

[중첩반복문] - 이중for문

반복문 안에 반복문이 있는 구조

사용이유: 반복문도 반복이 되기 때문에 반복문을 더 큰 반복문으로 감싸주려고 사용한다.

*중첩은 이중까지만 사용하기
-> 시간복잡도: 반복문에 영향을 받으므로, 프로그램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.
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<실습>별찍기.c


<출력결과>
*****
*****

반복명령: * 출력
반복횟수: 5번

<출력결과>
i j
***** 01234 0
***** 01234 1


행:2 -밖 횟수
열:5 -안 횟수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
<출력결과>
***
***
***
***

행:4
열:3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for (int j=0;j<4;j++){
for (int i = 0; i < 3; i++) {
printf("*"); }
printf("\n");
}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출력결과>
#step1
j i
123 0 012
123 1 012
123 2 012
123 3 012

행:4
열:3
출력명령: 숫자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for (int j = 0; j < 4; j++)
{
for (int i = 0; i < 3; i++) {
printf("%d",i+1);

}
printf("\n");
}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step2
j i
11111 0 01234
22222 1 01234

for (int j = 0; j < 2; j++){
for (int i = 0; i < 5; i++) {
printf("%d",j+1);

}
printf("\n");
}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step3

<출력결과>
j 빈칸 i
* 0 0 0<=i<1
** 1 01 0<=i<2
*** 2 012 0<=i<3
**** 3 0123 0<=i<4
***** 4 01234 0<=i<5

행: 5개
열: ?
for (int j = 0; j < 5; j++)
{
for (int i = 0; i < j+1; i++) {
printf("*");

}
printf("\n");
}
=======================
#step4

<출력결과>
j 빈칸 i
***** 0 01234 0<=i<5
**** 1 0123 0<=i<4
*** 2 012 0<=i<3
** 3 01 0<=i<2
* 4 0 0<=i<1

0 43210 4>=i>-1
1 4321 4>=i>0
2 432 4>=i>1
3 43 4>=i>2
4 4 4>=i>3

행:
열:

for (int j = 0; j < 5; j++)
{
for (int i = 0; i < 5-j; i++) {
printf("*");

}
printf("\n");
}
=======================
#step5

<출력결과>
j 빈칸 i
* 0 0<=i<4 0
** 1 0<=i<3 01
*** 2 0<=i<2 012
**** 3 0<=i<1 0123
***** 4 0<=i<0 01234

행: 5
열: ?

for (int j = 0; j < 5; j++)
{
for (int i = 0; i < 4-j ; i++) {
printf(" ");
}

for (int i = 0; i < j+1; i++) {
printf("*");

}
printf("\n");
}
=======================
#step6
<출력결과>
j 빈칸 i
***** 0 x 01234
**** 1 0 0123
*** 2 01 012
** 3 012 01
* 4 0123 0
for (int j = 0; j < 5; j++)
{
for (int i = 0; i < j; i++) {
printf(" ");
}

for (int i = 0; i < 5-j; i++) {
printf("*");

}
printf("\n");
}

반응형

'프로그래밍 > 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재귀함수  (0) 2020.07.24
함수  (0) 2020.07.22
제어문-반복문  (0) 2020.07.21
제어문- 조건문  (0) 2020.07.18
연산자(2)  (0) 2020.07.16